전체 글 24

유학생 대학원생 장학금 - OK배정장학재단 생활비 장학금

오늘은 유학생들이 받을 수 있는 장학금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는 유학생 장학금으로는 관정장학금, SBS장학금, 국비장학금 등등이 있는데 점점 줄여나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특히 유학생들의 분야가 워낙 넓고 전문적이기 때문에 학교 네임벨류 위주로 평가되는 아쉬운 점도 있습니다. 오늘 소개드릴 장학금은 학부생들에게는 이제 유명한 OK배정장학재단의 생활비 장학금입니다. 저는 학부생 때도 OK배정장학재단 3기 장학생으로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저도 그렇고 주변에도 어찌저찌 학비를 해결하더라도 공부를 하려면 생활비가 부담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결국엔 알바나 과외를 통해서 돈을 벌어야 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학점이라는게 결국 쏟은 시간에 비례에서 좋게 나오는 편인데 틈틈히 돈을 벌어야..

VIM Color Scheme 적용하기

서버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vim을 사용하게 될일들이 종종있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처럼 vscode를 연결해서 써도 좋지만, vim을 쓰게되는 경우에 특유의 쨍-하고 가독성 안좋은 기본 색상이 굉장히 거슬립니다.... 오늘은 원하는 color scheme으로 vim을 변경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ua랑 neovim등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적용방식이 살짝씩 다르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은 vim만 있으면 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는 git에 올라온 color scheme을 적용하기만 하면 됩니다. Plug-VIM이라는 plugin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간단히 설치할 수 있습니다. 우선 아래 사이트에서 원하는 color scheme을 골라주시면 됩니다. git에 올라온 것들중에 인기..

코딩/VIM 2023.09.29

서버 안의 VM에 접속하기: SSH 터널링과 프록시 서버

저번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원격서버 안에 있는 docker container나 Virtual Machine (VM)에서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원격서버에 접속한 다음에 접속해도 되겠지만, 항상 다이렉트로 되는 것이 간편하죠.... 결론부터 말하자면, SSH에서 제공하는 터널링 기능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답니다! SSH에서는 source와 destination 사이에 경유할 수 있는 호스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터널링 기능이라고도하고, 이러한 서버를 보다 general하게는 Proxy Server라고 합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은 Computer Networking course에서 기회가 된다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어찌되었든 기본적인 틀은 이전 글..

코딩 2023.09.12

서버에 원격접속 환경 구축하기: ssh와 tmux

연구실이나 회사의 서버/컴퓨터에 접속하고 싶은 경우가 많은데 (집에서는 쉬어야 하지만,,,) 처음 일하는 분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게 글을 작성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양쪽다 UNIX기반의 bash terminal을 사용하는 환경을 가정하였습니다. 학교나 회사의 경우 VPN 접속이 필요할 수 있는데, 이는 접속 방법이 다 다르기 때문에 이번 포스트에서는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원격으로 컴퓨터에 접속할 때는 ssh라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주로 22번 포트로 접속하게 됩니다.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의 IP주소와 username, password를 알고 있다면 간단히 접속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비밀번호를 생략하고 접속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client 컴..

코딩 2023.09.08

어바나-샴페인 정착기 (3): 학교 행정 업무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기가 시작하기 전에 꼭 해야할 일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ISSS Check-in 하기 준비물: VISA 스캔본, I-94 미국에 도착하면, Check-in을 해야 정부에서 정보를 인지하고 이후에 SSN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아마 학교에서 이메일로 계속 까먹지 말고 하라고 보내 올 것이기 때문에 걱정은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학교에서 보내주는 링크에 들어가서 정보만 기입하면 완료됩니다. 특이 사항은 준비물이 몇가지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체크인은 2023 FALL 기준 8월 7일(월요일)부터 가능합니다. VISA 스캔본의 경우, 미국에 도착해서 스캔을 할만한 곳은 없기 때문에, 저는 CamScanner 어플(앱스토어/플레이스토어)을 통해서 스캔을 했습니다. 이 글을 한국에서..

어바나-샴페인 정착기 (2): 은행 계좌 만들기, 유학생 송금

새로운 집에 도착하고 나서 첫날 밤을 보낸 후에,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역시 통신사와 인터넷 그리고 은행입니다! 저는 mint mobile esim을 미리 한국에서 개통해왔고, 인터넷은 부동산 업체에서 관리했기 때문에 제가 따로 할 일은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제일 먼저 Illini Book Store에서 I-Card를 발급받은 뒤에, 은행에 가서 부족한 영어로(ㅜ...) 계좌를 먼저 텄습니다. 학교 학생증인 I-Card 발급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겠지만, 이것이 있어야 이 동네 버스를 무료(정확히는 등록금에 교통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로 탈 수 있어서 가장 먼저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없는 경우 기사 아저씨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제가 아직,,, 카드가 없어서,,,) 탈 수 있다지만! 저는..

Computer Architecture Paper Review

예전에 읽었던 논문을 얼마전에 다시 펼쳐보니 정말 새롭게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논문 리뷰를 꼭 문서화해서 남겨야지 마음을 먹고 블로그에 적어야 겠다 생각했습니다. 지금까지 읽었던 논문들도 물론 차차 리뷰를 할테지만, 우선 ISCA, MICRO, HPCA, ASPLOS의 최신 논문들을 읽으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노션으로 정리했다면 조금 더 연결성 좋게 공유할 수 있었겠지만, 아무래도 다른 분들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블로그로 쓰는게 좀 더 좋을 것 같았습니다. 지금 고민인 것은 영어로 적을까 한글로 적을까 인데... 아마 혼용할 것 같습니다. 최신 논문들은 영어로 리뷰하고, 엄청 예전 컴퓨터 구조의 기틀이 되는 논문들은 한글로 리뷰할까 생각 중입니다. 과거의 논문들을 다시 읽고 리뷰를 하려면 시간이 좀..

Paper Review 2023.08.14

Synthesis Lectures on Computer Architecture Review

Synthesis Lectures on Computer Architecture라는 컴아키 분야를 공부하기에 너무 좋은 교재가 있어서 제가 직접 읽고 리뷰를 해보려고 합니다. 김장우 교수님의 학부 컴퓨터 조직론 수업에서 처음 접했는데, 정말 도움이 많이 되더라고요. 세부 분야별로 세계 석학(이제 와서 보니 정말 유명한 이름들이 많은...)들이 돌아가며 맡아서 책을 집필한 것인데요, 그래서 Synthesis Lecture라고 이름이 붙었답니다. 예전 주제부터 비교적 최근 주제들까지 폭이 넓고, 설명이 정말 자세하게 되어있어서 이만한 교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계속 새로운 시리스가 나옵니다.) 심지어 industry 관련 분들이 집필하신 경우도 있어서 실제 제품을 이용한 자세한 설명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Synthesis Lectures 2023.08.14

어바나-샴페인 정착기 (1): 공항에서 숙소까지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2023 FALL 학기부터 UIUC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했습니다. 샴페인에 성착하는 과정과 이후에 생활하면서 얻을 수 있는 꿀팁들을 블로그에 정리해보려고 하는데요. 앞으로 몇개의 포스팅은 초기에 정착할 때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UIUC가 위치한 일리노이의 어바나(Urbana), 샴페인(Champaign) 지역은 시카고와는 차로 2-3시간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아마 대부분 오시기 전까지 생소한 지역이라 기숙사나 집까지 가는 방법에 대해서 막막한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한국에서 출발해서 미국의 집앞까지 이동하는 방법을 상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샴페인에 오시려면 직항이 없기 때문에 보통 2가지 선택지가 있는데요. 시카고 오헤어 공항(ORD)이..

이공계 대학원 유학 A to Z (5): 컨택 메일

*유학관련 글은 모두 TOP10 이공계 대학원 박사과정에 초점을 두고 작성하였습니다. SOP를 작성하기 이전에, 잠깐 쉬어가는 타임으로 컨택 메일(Contact Mail)을 왜 언제 어떻게 누구에게 작성하면 좋은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랩서치를 완료했다면 해외의 교수님들께 컨택메일을 보내야 하는데요. 영어로 이메일을 써보시지 않은 분들이 많을 것이기 때문에 정말 기초적인 예의에서부터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컨택메일의 필요성을 알기 전에 각 대학에서 대학원생을 어떻게 뽑는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학교에서 admission commitee를 선정해서 그곳에서 일괄적으로 선발하는 학교가 있습니다. EECS의 경우 MIT, Stanford, UC Berkeley 등이 여기에 해당..

반응형